본문 바로가기
인생 발전소/식품 발전소

재테크 완전 초보편. 1년만 적금을 쪼개봐!!!

by 발전소 인턴 2021. 1. 1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재테크를 시작해 보지도 못한 재테크 초보들에게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대학 생활을 하면서 아르바이트를 해서 한푼 두푼 모으고 싶은데 항상 돈이 부족하신 분들, 첫 직자을 다니며 월급을 모으고 싶은데 생각보다 쉽지 않는 분들, 적금이나 예금을 만기 이전 해지하시는 분들이 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아래 나오는 방법은 제가 직접 진행하고 성공하였던 방법입니다.

 

" 돈은 쓰라고 있는 것이다 "

우리는 초등학생 시절부터 돼지 저금통과 함께 자랐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우리는 저축이라는 중요한 교육을 받고 있었다는 증거이죠. 하지만 그 돼지의 배가 불러 깨는 경험을 한 친구들은 극소수라고 생각합니다. 항상 돈을 빼기 위해 이수씨개를 들고 노렸했었고, 사실 저축까지 할 돈을 남기지 못했기 때문이죠.

@픽사베이

결과적으로 돈은 쓰라고 있는 겁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돈을 모으지 못합니다. 대학생활을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고 친구들과 어울리기 위해 돈을 써야하며, 직장인들은 돈을 벌어 학자금 대출 및 생활비를 사용하면 항상 돈이 없습니다. 그나마 재테크를 시도하는 직장인들이 40%~60% 저축을 해야한다고 이야기 하며 적금, 예금을 들고서는 매번 만기를 채우지 못하고 해지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그럼 우리는 어떻게 해야 돈을 모을 수 있을까요?

 

" 작게 매월 적금통장을 만들어 보자 "

저 스스로도 많은 고민을 했습니다. 문제점을 찾으려고 많은 고민을 했습니다. 그리고 월급의 40~60% 저축을 해야하는 강박감이 만기를 채우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로 지정했습니다. 사실 취업 후 대기업을 제외한 대부분 기업들의 월급은 많지 않습니다. 세금을 제외하고 내 통장에 찍힌 금액은 대부분 180~250만원 사이입니다. 180만원의 수입을 얻고 있는 분들을 기준으로 월급의 40%면 72만원입니다. 108만원으로 한달을 생활해야 합니다. 이는 절대 쉬운 방법이 아니고 정상적인 생활이 힘들수도 있는 금액입니다.

@픽사베이

그래서 저는 72만원의 부담을 1년으로 쪼개는 방법을 선택했습니다. 72만원을 12개월로 나누면 6만원이라는 금액이 나옵니다. 그리고 매월 6만원의 적금통장을 1년간 만들면 됩니다. 이렇게 진행하게 되면 우리는 월 72만원씩 저축하는 금액만큼 돈을 모으지는 못하지만 그 이상의 습관과 재테크에 대한 재미를 느껴볼 수 있습니다.

 

" 내가 했던 방법 " 

저는 1년 6개월 정도 매달 적금을 만들고 만기를 채우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매번 은행까지 가서 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라 카카오뱅크로 적금을 가입하고 시작은 5만원으로 시작했습니다. 1년째 만기를 채운 후 여유가 되면 6만원, 7만원 점점 올려 마지막에는 8만원까지 매월 적금을 넣었습니다.

 

이렇게 한푼두푼 모은 돈으로 현재 신혼집도 매입할 수 있었고 (물론 대출도 받았습니다) 결혼 준비도 여유롭게 하고 있습니다. 직접 적금을 쪼개면서 느낀점은 만기까지 채우고 그 기분을 반복해서 느끼는 경험이 매우 중요하다 입니다. 1년까지는 매우 힘들었지만 1년 이후부터 매월 들어오는 돈으로 월급 외 매달 용돈을 받는 기분이었고, 덕분에 재테크에 대해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뀌게 되었으며 현재도 계속 공부하고 있습니다.

 

" 마무리 "

아직 재테크라고는 적금밖에 하지 못했습니다. 적금 쪼개기를 멈춘 이후는 코로나 시대를 겪으면서 수익률이 1%대로 내려왔기 때문입니다. 물가 상승률보다 못하기에 이제 최근에 핫한 주식을 시작해보려고 합니다. 주식에 대해 1도 모르지만 하나씩 알아가는 방법과 과정을 이 채널을 통해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